WGA 반응 설정 조건 및 제품 권장사항

WGA 반응 설정 조건 및 제품 권장사항 (phi29, WGA, T7 Endonuclease I 활용)

WGA 반응 설정 조건 및 제품 권장사항 (phi29, WGA, T7 Endonuclease I 활용)

Whole Genome Amplification (WGA)은 극미량의 DNA를 증폭할 때 필수적인 기술입니다. 특히 phi29 DNA polymerase를 사용하면 높은 신장성(processivity)오류율이 낮은 증폭이 가능해집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효율적인 WGA 반응 조건, 최적화된 시약 조합, 그리고 시퀀싱 전 필수적인 T7 Endonuclease I 처리 방법까지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.


1. WGA 반응의 핵심: phi29 DNA polymerase

bio_444img1 WGA 반응 설정 조건 및 제품 권장사항

phi29 DNA polymeraserolling circle amplification (RCA)WGA에 최적화된 효소입니다. 기존의 Taq polymerase와 비교했을 때 3′→5′ exonuclease 활성(proofreading)이 있어 오류가 적고, 긴 DNA 조각(>70 kb)도 안정적으로 증폭할 수 있습니다.


✔ phi29를 사용하는 이유

  • 높은 processivity: 한 번 결합하면 수십 kb를 연속적으로 합성합니다.
  • 저오류율: PCR보다 돌연변이 발생 확률이 현저히 낮습니다.
  • Strand displacement 활성: 추가적인 변성 단계 없이도 이중가닥 DNA를 풀어냅니다.

“그렇다면 정확히 어떤 조건에서 반응을 설정해야 할까요?”


2. WGA 반응 조건 상세 가이드

2-1. 기본 반응 구성

시약 부피 (μl) 최종 농도
10X phi29 Buffer 2.5 1X
Random hexamer primer* 2.5 50 μM
dNTP (10 mM) 2.5 1 mM
DNA (genomic or plasmid) 변수 10 pg–1 ng/반응
BSA (20 mg/ml) 0.125 0.1 mg/ml
phi29 polymerase 1 0.4 units/μl
Nuclease-free water 총 25 μl

📌 주의사항

  • Primer: Exo-resistant random hexamer (3′ 말단에 phosphorothioate 2개 포함) 사용
  • DNA 양: WGA는 10 pg 이상, RCA는 100 fg plasmid DNA부터 가능

2-2. 선택적 열변성(Heat Denaturation) 단계

일부 프로토콜에서는 95°C, 3분 변성을 권장하지만, phi29의 strand displacement 능력으로 생략 가능합니다. 다만, GC-rich DNA복잡한 구조의 경우 변성 단계를 추가하면 수율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.

✔ 반응 순서

  1. Phi29, BSA를 제외한 모든 시약을 혼합
  2. 95°C, 3분실온 냉각 (변성 시 사용)
  3. BSA + phi29 추가30°C, 2시간 이상 반응
  4. 65°C, 10분으로 효소 불활성화

3. WGA 산물 정제 및 고수율을 위한 팁

3-1. SPRI beads를 이용한 정제

증폭 후 0.8X SPRI beads로 정제하면 primer, dNTP, 효소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

3-2. Inorganic Pyrophosphatase (IPP)로 수율 향상

반응 중 생성되는 pyrophosphate (PPi)는 효소 활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. 1 μl IPP (M0361)를 추가하면 증폭 효율이 개선됩니다.

“그런데 시퀀싱을 할 계획이라면?”


4. 시퀀싱 전 필수 단계: T7 Endonuclease I 처리

WGA 산물은 hyperbranched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, Nanopore 또는 Illumina 시퀀싱 시 로딩 효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. T7 Endonuclease I로 분기를 절단하면 더 깨끗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
✔ De-branching 반응 조건

시약 부피 (μl) 최종 농도
WGA 산물 변수
10X NEBuffer 2 3 1X
T7 Endonuclease I 1.5 0.5 units/μl
Nuclease-free water 총 30 μl

37°C, 30분 반응 후 SPRI beads로 정제하면 시퀀싱에 최적화된 DNA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WGA와 PCR의 차이점은?

  • PCR: 특정 부위만 증폭, 높은 오류율, 짧은 산물 (~10 kb)
  • WGA (phi29): 전체 게놈 증폭, 낮은 오류율, 긴 산물 (>70 kb)

Q2. DNA 양이 10 pg 미만이면 증폭이 안 될까요?

Single-cell WGA도 가능하지만, primer 최적화BSA 추가가 필수적입니다.

Q3. T7 Endonuclease I 처리 후 전기영동으로 확인할 수 있나요?

Hyperbranched DNA는 gel에서 smear로 보이지만, T7 처리 후 뚜렷한 band가 관찰됩니다.


6. 마치며

phi29 기반 WGA미량 DNA 증폭부터 단일 세포 시퀀싱까지 다양한 연구에 활용됩니다. 열변성 단계 최적화, T7 Endonuclease I 처리만 잘해도 데이터 품질이 크게 달라집니다. 이 가이드가 여러분의 실험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!

“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”